유용한 정보

주택 임대차 계약 신고, 30일 안에 안 하면 과태료? 꿀팁 총정리!

life365 2025. 4. 29. 18:00

혹시 "주택 임대차 계약 신고" 해야 하는 걸 깜빡하고 계신가요? 아니면, "나야 뭐, 그냥 살고 있는데 굳이 신고까지?" 하고 넘기셨다면... 과태료 폭탄 맞을 수도 있어요! 이 글에서 "주택 임대차 계약 신고"를 꼭 해야 하는 이유부터, 신고 방법, 그리고 과태료까지 풀어드립니다.

 

주택 임대차 계약 신고, 30일 안에 안 하면 과태료

 

 

주택임대차(전월세) 계약 신고 바로가기

 

 

주택 임대차 계약 신고, 왜 꼭 해야 할까?

"주택 임대차 계약 신고"란,

전월세 계약을 맺은 후 30일 이내에 관할 관청이나 온라인 시스템에 신고하는 걸 말해요.

 

주택 임대차 계약하면 잊지 말고 30일 이내 신고

 

이는 임차인(세입자) 보호를 위해 2021년 6월부터 시행된 제도입니다.

특히 보증금 6,000만 원 초과나 월세 30만 원 초과 계약은 의무 신고 대상이니 잊지 마세요.

 

"나는 몰랐어요"는 이제 통하지 않습니다!

 

2025년 6월 1일부터 본격적으로 과태료 부과가 시작되기 때문인데요,

계도기간(즉, 봐주던 기간)이 2025년 5월 31일부로 끝났기 때문입니다.

 

주택 임대차 계약 신고

 

 

주택임대차(전월세) 계약 신고 과태료, 얼마나 나올까?

자, 제일 궁금한 부분!

"주택임대차 신고 과태료"는 신고를 안 하거나 거짓 신고를 하면 부과되는데요.

 

과태료는 완화되었습니다.

신고의무 위반시 과태료 기준 완화

 

 

예전엔 최소 4만 원에서 최대 100만 원까지였지만,

이제는 최소 2만 원부터 최대 30만 원까지만 부과됩니다!

 

한숨 돌릴 만하지만, 그렇다고 안심은 금물이랍니다.

실수로 늦게 신고해도 과태료는 부과될 수 있으니까요.

 

그리고 여기서 중요한 팁!

2025년 6월 1일 이후 체결하는 계약부터 과태료 대상이 됩니다.

그 전에 체결한 계약은, 신고를 안 했더라도 과태료를 물지 않아요.

(미리 계약한 분들은 소리 질러~)

 

 

 

전월세 계약 신고, 이렇게 하면 끝!

"전월세 계약 신고" 어렵지 않습니다. 딱 두 가지 방법만 기억하세요!

  1.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방문
    • 계약서를 들고 가까운 행정복지센터에 가세요.
  2. 온라인 신고 (국토부 부동산거래관리시스템)

주택임대차(전월세) 계약 신고 바로가기

  • 부동산거래관리시스템 접속!
  • PC, 스마트폰, 태블릿 모다 다 OK!
  • 간편인증으로 로그인 후 빠르게 신고할 수 있어요.

특히, 계약서에 임대인과 임차인 둘 다 서명했으면 한쪽만 신고해도 공동 신고로 인정됩니다.

(임대차 신고할 때 계약서를 제출하면 확정일자도 자동으로 부여되)

"서로 미루지 말고, 한쪽이라도 신고하자!"가 포인트죠.

 

 

전월세 신고 과태료, 이런 상황은 조심!

"나는 그냥 계약 갱신했는데요?"라고 안심할 수 없습니다.

  • 임대료 변동 없는 갱신: 신고 안 해도 OK
  • 임대료 변경 있는 갱신: 30일 이내 신고 필수!

특히 묵시적 갱신(아무 말 없이 쭉 사는 경우)은 신고 안 해도 괜찮지만, 임대료가 오르거나 내리면 신고 대상입니다.

(전셋값 올려놓고 신고 안 하면 바로 전월세 신고 과태료 대상 되는 거죠.)

 

 

또 하나, 중요한 팁!

확정일자만 받고 임대차 신고를 안 하면 안 된다!

 

법원 등기소나 주민센터에서 확정일자를 찍었다고 해도, 따로 "주택 임대차 계약 신고"를 해야 합니다.

단, 임대차 신고할 때 계약서를 제출하면 확정일자도 자동으로 부여되니 일석이조!

 

 

주택임대차 신고 과태료 피하는 꿀팁 정리

  1. 계약 체결 후 30일 이내에 신고!
  2. 보증금 6천만 원 초과 또는 월세 30만 원 초과하는 경우 신고 필수!
  3. 임대료 변동 있는 갱신은 반드시 신고!
  4. 확정일자만 받았더라도 별도로 임대차 신고해야 함!
  5. 2025년 6월 1일 이후 계약부터 과태료 대상! (그 전 계약은 과태료 X)

 

주요 질의 답변

‘25. 6. 1. 이후 갱신계약시 신고대상인가요?

 

‘25. 1월 체결한 임대차계약을 지금 신고하면 과태료가 부과되나요?
지연신고 및 거짓신고시 과태료 부과기준

 

임대차 신고정보가 임대소득에 대한 과세정보로 활용되나요?

법원이나 등기소 등에서 확정일자를 부여받았는데 임대차 신고를 별도로 해야 하나요?

 

 

주택 임대차 계약 신고는 나와 이웃을 지키는 일!

주택 임대차(전월세) 계약 신고는 "나 하나쯤..." 하는 마음으로 넘기기 쉬운 일이지만, 결국엔 내 권리, 내 재산을 지키는 중요한 절차입니다.

 

또한 임대인-임차인 간 분쟁 예방, 시장 투명성 확보에도 꼭 필요한 일이니, 이왕 해야 하는 거, 기분 좋게 신고하고 주택임대차 신고 과태료 걱정 없는 임대차 생활 하자구요!

 

똑소리 나는 당신, 이제 신고도 똑 부러지게 완료합시다!

 

[보도자료 다운로드]

주택 임대차 계약하면 잊지 말고 30일 이내 신고하세요.pdf
0.94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