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용한 정보

울산 첫 도시철도 시대 개막! 친환경 수소 트램, 2028년 개통 예정

by life365 2025. 2. 12.

goodthings4me.tistory.com

울산에도 드디어 도시철도가 생깁니다! 2028년 개통을 목표로 하는 울산 도시철도 1호선은 국내 최초 친환경 무가선 수소전기트램으로, 친환경 교통 혁신을 선도할 예정입니다. 노선, 정거장, 개통 일정 등 최신 정보를 확인하세요!

 

울산 첫 도시철도 시대 개막! 친환경 수소 트램, 2028년 개통 예정

 

울산 첫 도시철도, 친환경 수소 트램으로 2028년 개통 예정

울산은 광역시 중 유일하게 도시철도가 없는 도시였는데요, 대중교통을 이용하려면 버스나 자가용에 의존해야 했고, 출퇴근 시간에는 교통체증이 심각했습니다.

 

이제 드디어 울산에도 도시철도가 들어섭니다. 그것도 친환경 수소 트램이라는 혁신적인 교통수단으로 말이죠!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는 ‘울산 도시철도 1호선(트램) 기본계획’을 승인하며 본격적인 사업 추진을 알렸습니다.

 

울산 시민들의 출퇴근 시간이 더욱 단축되고, 친환경 교통수단 도입으로 깨끗한 도시 환경까지 기대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번 울산 도시철도 1호선, 어떤 모습일까요?

 

🚋 울산 도시철도 1호선, 어떤 모습일까?

 

 

🔹 노선 : 태화강역 ↔ 신복교차로 (총 길이 10.9km)

🔹 정거장 : 총 15개 신설

🔹 운행 방식 : 친환경 무가선 수소전기트램

🔹 총 사업비 : 3,814억 원 (국비 60%, 시비 40%)

🔹 개통 목표 : 2028년

 

울산 도시철도 1호선은 태화강역에서 신복교차로까지 이어지는 총 10.9km 구간에 걸쳐 15개의 정거장이 설치될 예정입니다. 기존 버스로 약 40분이 걸리던 이동 시간이 트램을 이용하면 28분으로 단축될 전망입니다.

 

특히 이 트램은 단순한 전동차가 아니라 국내 최초 수소전기 트램입니다. 기존 전차처럼 전선(가선)을 설치할 필요 없이 수소연료전지를 이용해 친환경적으로 운행됩니다.

 

1회 충전에 200km까지 주행 가능하며, 운행 중 배출하는 것은 오직 물(H₂O) 뿐!

 

💡 울산 도시철도 1호선이 특별한 이유

🚋 국내 최초 친환경 무가선 수소전기 트램!

기존 전차들은 전기를 공급받기 위해 철로 위에 전선을 설치해야 했지만, 울산 도시철도 1호선은 가선 없이 수소연료전지로 움직이는 국내 최초 수소 트램입니다.

 

🌍 탄소중립 실현 가능!

이 트램은 전력 공급을 위한 추가 인프라 없이도 수소연료전지를 통해 자가 발전이 가능하며, 운행 중 온실가스를 전혀 배출하지 않는 친환경 교통수단입니다.

 

⏳ 빠르고 편리한 이동!

기존 버스 대비 30% 이동시간 단축(40분 → 28분)

 

🚊 광역 교통망과 연계!

울산 도시철도 1호선은 동해선 광역전철과 연결되어 연간 250만 명의 이용객이 환승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출퇴근길이 더욱 편리해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 앞으로의 추진 계획은?

 

 

2025년 : 기본 및 실시설계 완료 후 착공

2028년 : 도시철도 1호선 개통 🎉

 

울산시는 1호선뿐만 아니라 남북을 연결하는 도시철도 2호선도 계획 중입니다. 동서와 남북을 잇는 십자형 간선 교통망이 완성되면 울산 시민들의 이동이 더욱 편리해질 전망입니다.

 

🔥 기대 효과

  • 대중교통 활성화 → 버스 이용객 분산으로 혼잡 완화
  • 지역 경제 활성화 → 상업지구 접근성 향상
  • 친환경 교통 전환 → 온실가스 배출 최소화
  • 시간 절약 → 빠르고 정시성 높은 이동 가능

울산 도시철도 1호선이 개통되면 시민들의 이동이 더욱 쾌적해지고, 친환경적인 교통수단 도입으로 지속 가능한 도시 발전이 가능해집니다. 🚄

 

📌 결론

울산 도시철도 1호선은 단순한 철도 아닌 친환경 교통수단이며, 대중교통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광역 교통망 연계 등의 장점으로 울산의 미래형 스마트 모빌리티 도시로 향하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입니다.

 

이제 울산 시민들도 빠르고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는 시대가 열리니 앞으로의 진행 상황도 계속해서 지켜봐야겠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