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면 돈이 되는 정보/복지지원혜택

2026년 기준 중위소득 인상! 생계·의료·주거·교육급여 핵심 정리

by life365 2025. 8. 3.
반응형

2026년도 기준 중위소득이 역대 최고 수준으로 인상되었다는데,  '기준 중위소득'은 뭐고, 인상되면 뭐가 좋은 건지? 생계·의료·주거·교육급여는 또 뭐야? 이런 의문이 들었다면, 이 복지 혜택 대상이 아니었다는 것이죠! 

2026년 기준 중위소득 인상! 생계·의료·주거·교육급여 핵심 정리

 

 

이 글에서는 2026년도 기준 중위소득의 변화부터, 생계급여, 의료급여, 주거급여, 교육급여 등 다양한 혜택까지, 복잡한 내용을 알기 쉽게 정리해 드릴겁니다. 꼼꼼히 읽고 나에게 필요한 정보는 무엇인지 확인해 보는 것도 좋지 않을까요!

 

 

2026년 기준 중위소득, 얼마나 올랐을까? 🤔

2026년도 기준 중위소득은 역대 최대 폭인 6.51% 인상되었습니다.

역대 기준 중위소득 증가율(4인 가구 기준)

 

2025년 기준 4인 가구의 609만 7,773원에서,

2026년에는 약 40만 원 증가한 649만 4,738원으로 결정되었죠.

 

2025년도 및 2026년도 기준 중위소득

 

특히, 기초생활보장 수급 가구의 74.4%를 차지하는 1인 가구의 경우,

 

2025년 239만 2,013원에서 7.20% 인상된 256만 4,238원으로 책정되어 더욱 높은 인상률이 적용되었답니다.

 

이처럼 기준 중위소득이 오르면,

이를 기준으로 삼는 여러 복지 사업의 수혜 대상이 넓어지게 돼요.

 

기준 중위소득은 현재 14개 부처의 80여 개 복지 사업에서 이 기준을 활용하고 있는데요. 6.5% 인상으로 인해 더 많은 사람들이 혜택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예를 들어, 생계급여는 기준 중위소득의 32% 이하, 의료급여40% 이하, 주거급여48% 이하, 교육급여50% 이하인 가구가 지원 대상이 됩니다.

 

2025년도 및 2026년도 급여별 선정기준

 

 

2026년 기준 중위소득 비율표

  1인 가구 2인 가구 3인 가구 4인 가구
50% 1,282,119원 2,099,646원 2,679,518원 3,247,369원
60% 1,538,543원 2,519,575원 3,215,422원 3,896,843원
70% 1,794,967원 2,939,504원 3,751,325원 4,546,317원
80% 2,051,390원 3,359,434원 4,287,229원 5,195,790원
100% 2,564,238원 4,199,292원 5,359,036원 6,494,738원
120% 3,077,086원 5,039,150원 6,430,843원 7,793,686원
180% 4,615,629원 7,558,725원 9,646,265원 11,690,529원
200% 5,128,476원 8,398,584원 10,718,072원 12,989,476원
250% 6,410,595원 10,498,230원 13,397,590원 16,236,845원
300% 7,692,714원 12,597,876원 16,077,108원 19,484,214원

 

기초생활보장제도, 어떻게 달라질까? ✨

기준 중위소득 인상에 맞춰 기초생활보장제도의 각 급여 기준도 함께 상향 조정되었어요.

 

 2026년도 급여별 선정기준과 최저보장수준을 심의, 의결함에 따라 이를 통해 약 4만 명의 국민이 새롭게 생계급여를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답니다.

 

생계급여: 지원 대상 확대 및 제도 개선

생계급여는 2026년도에 선정 기준이 곧 최저보장수준이 되는데요.

 

4인 가구 기준으로 2025년 195만 1,287원에서 2026년 207만 8,316원으로,

1인 가구 기준으로 2025년 76만 5,444원에서 82만 556원으로 인상됩니다.

 

실제 받는 급여액은 이 선정 기준에서 가구의 소득인정액을 뺀 금액으로 계산돼요. 단순히 기준만 올린 것이 아니라, 제도 개선도 함께 추진되는데요.

 

청년들의 자립을 돕기 위해 청년 근로소득 공제 대상이 29세 이하에서 34세 이하로 확대되고, 추가 공제 금액도 40만 원에서 60만 원로 늘어납니다.

 

또한, 자동차 재산 기준도 완화되었어요. 승합·화물자동차의 기준이 '소형'으로 바뀌고, 다자녀 가구의 기준도 '3인 이상'에서 '2인 이상'으로 넓어져 더 많은 가구가 혜택을 받게 됩니다.

 

 

의료급여: 보장성 강화와 본인 부담 완화

의료급여는 급여 대상 항목에 대한 의료비 중 본인 부담금을 제외한 전액을 지원하는 기존 방식이 유지돼요.

 

하지만 제도를 보완하기 위한 노력도 이어집니다.

 

우선, 부양의무자가 수급자에게 지원하는 것으로 간주하던 부양비의 부담을 완화해 더 많은 사람이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했습니다.

 

또한, 정신질환 치료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 항정신병 장기지속형 주사제의 본인 부담률을 기존 5%에서 2%로 낮출 계획입니다.

 

다만, 과도한 외래 진료 이용을 줄이기 위해 연간 365회를 초과하는 외래 진료에 대해서는 본인 부담률 30%가 적용되지만, 중증 장애인, 아동, 임산부 등 취약 계층은 예외입니다.

 

 

주거급여 & 교육급여: 임대료와 지원금 상향

주거급여는 임차 가구의 임차료 지급 상한선인 기준임대료를 2025년 대비 급지 및 가구원 수에 따라 1.7만 원에서 3.9만 원까지 인상합니다.

 

이는 서울 1급지 4인 가구의 경우 2.6만 원,

6인 가구는 3.2만 원 인상되는 것인데요.

임대료 상승에 대한 부담을 덜어주려는 조치로 보이네요!

 

또한, 교육급여는 학생들의 교육 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교육활동지원비를 2025년 대비 평균 6% 인상합니다.

 

구체적으로는

초등학생은 50만 2,000원,

중학생은 69만 9,000원,

고등학생은 86만 원으로 오르게 됩니다.

 

이 외에도 무상교육이 아닌 고등학교에 다니는 학생들에게는 입학금, 수업료, 교과서비가 실비로 지원됩니다.

 

 

글을 마무리 하며

이번 2026년도 기준 중위소득 인상은 어려운 분들의 지원 혜택을 넓혀서 삶을 적극적으로 보호하려는 정부의 의지를 보여주는 것 같아요.

 

이 정보를 통해 복지 혜택을 놓치지 않고, 더 나은 삶을 계획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 참고사항: 기준 중위소득 활용 사업 현황(총 80개, 2025년 기준)

No 관계부처 사업명
1 고용부 국민취업지원제도
2 고용부 산재 근로자 생활안정자금융자
3 고용부 노로자 생활안정자금 융자
4 고용부 직업훈련 생계비 대부
5 고용부 (기초생활) 교육급여
6 교육부 한부모가족 자녀 교육비 지원
7 교육부 중‧고 교육비 지원사업(학비 및 급식비, 방과후학교 자유수강권 등)
8 교육부 국가장학금
9 교육부 재학생교육비용
10 교육부 복권기금 꿈사다리 장학사업
11 교육부 복지부 연계 초‧중‧고‧해외유학 장학금
12 교육부 취업 후 상환 학자금대출
13 복지부 국가유공자 등 생활조정수당
14 복지부 국가유공자 동 생계지원비
15 보훈처 독립유공자‧손자녀 생활지원금
16 복지부 (보육대상자) 양육지원
17 복지부 중장기복무 제대군인 무료법률 구조 지원
18 복지부 (기초생활) 주거급여
19 국토부 행복주택 공급
20 국토부 청년 월세 한시 특별지원
21 농림부 농어촌우수고
22 농림부 농림수당
23 산림청 산림복지서비스 이용권
24 산림청 산림일자리(숲가꾸기, 산림재해일자리, 산림서비스도우미)
25 산림청 예술활동증빙비 지원
26 문체부 통합문화이용권
27 문체부 스포츠강좌이용권
28 법무부 법률 구조 제도
29 복지부 (기초생활) 생계급여
30 복지부 해산장려금
31 복지부 긴급복지
32 복지부 장애수당(기초)
33 복지부 장애수당(차상위)
34 복지부 장애아동수당
35 복지부 차상위계층 지원(차상위본인부담 경감)
36 복지부 (기초생활) 의료급여
37 복지부 장애인연금
38 복지부 재난적 의료비 지원
39 복지부 지역사회 통합건강증진사업(영양플러스)
40 복지부 자활근로
41 복지부 장애인 자립자금 대여
42 복지부 노인안검진 및 개안수술
43 복지부 발달재활서비스
44 복지부 언어발달지원
45 복지부 희망저축계좌(Ⅰ,Ⅱ), 청년내일저축계좌
46 복지부 장애아가족양육지원
47 복지부 장애인 보조기기 교부
48 복지부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
49 복지부 치매 검진 지원
50 복지부 저소득층 기저귀 조제분유 지원
51 복지부 가사‧간병 방문지원사업
52 복지부 노인 무료임플란트 수술 지원
53 복지부 장애등급소검사비, 심사용 진단서 발급비 지원
54 복지부 아동돌봄지원계좌
55 복지부 전국민 마음투자 지원 사업
56 복지부 상병수당 시범사업
57 복지부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지원사업
58 복지부 만환자 의료비 지원
59 복지부 정신질환자 치료비 지원사업
60 복지부 장애인 의료비 지원
61 복지부 중증장애인 근로자 출‧퇴근비용 지원
62 질병청 희귀환자 의료비 지원사업
63 질병청 임산부‧결리진료비 결핵환자 부양가족 생활보호비 지원
64 여가부 위기청소년 특별지원
65 여가부 청소년한부모 자립지원(양육비, 교육비)
66 여가부 다문화가족 방문교육 서비스
67 여가부 한부모가족동 양육비 등 지원
68 여가부 [디딤돌]디지털피해 청소년회복지원사업(청소년 인터넷‧스마트폰 과의존 치료비 지원)
69 여가부 위기청소년특별지원
70 여가부 아동돌봄 서비스
71 여가부 한부모가족 복지시설 지원
72 여가부 온가족돌봄서비스
73 여가부 청소년 부모 아동양육비 지원
74 여가부 여성청소년 생리용품 바우처 지원
75 여가부 건강가정 및 다문화가족 지원(저소득 다문화가족자녀 교육활동지원비)
76 통일부 북한이탈주민 의료비 지원
77 금융위 청년도약계좌
78 산자부 에너지바우처
79 산자부 에너지 취약계층 고효율조명기기 무상교체 지원
80 산자부 저소득층 에너지효율 개선

 

반응형